-데이터 전환 수행 계획
데이터 전환을 위한 상세 설계, 전환, 검증 프로그램 개발 + 통합 전환 수행하는 계획
업무 간 병렬 처리, 전환 시나리오에 따른 일관된 통제 및 관리, 주기적인 데이터 전환 테스트 반복
-데이터 전환 수행 범위
범위가 성공과 실패의 기준이 된다
작업내용, 사용 도구 같은 세부사항까지 명시
-데이터 전환 수행 일정
팀별 업무 나눠서 각자 역할과 납기 기록
전환 회차 수: 통합 전환 and 테스트 계획에 의해 결정
-데이터 전환 절차
현행(AS-IS)시스템->목표(TO-BE)시스템으로 전환을 위한 단계 구분
단계별 작업 내용 및 사용 도구 별도기록
원천 DB 데이터는 백업 후 스테이징 데이터베이스로 복구하여 작업
전환완료 후 검증: 스테이징이 아닌 원천 DB와 비교하여 오류확인
-데이터 전환 계획서 작성
계획하고 리스크 방지하셈
-데이터 전환 수행 단계
1. 요구사항 분석 단계(전환 계획 및 요건정의)
계획짜고 현행 정보시스템(AS-IS), 원천DB 구조분석- 그 뒤 목표시스템(TO-BE)분석 진행
2. 설계 단계(전환 설계)
위 내용을 근거로 데이터 매핑 및 검증 규칙 설계
3. 구현 단계(전환 개발)
4. 테스트 단계(전환 테스트 및 검증)
5. 데이터 전환 단계
실제 원천시스템 데이터->목적시스템
-체크리스트
전환 프로그램의 에러, 시간제약, 비즈니스 로직 변경, 긴급상황 및 위험요인 대응을 위한 측정 가능한 목록
수행 작업의 상세 항목, 작업내역, 예정 시작/종료 시간, 작업자
-데이터 전환 프로그램 검증
계획서, 체크리스트 작업내용, 수행 조직, 팀별 검증 역할, 단계별 결과 확인
성과, 시작 및 종료 시간 기록
-데이터 검증 종류
로그 검증: 전환 시 수행되는 추출, 적재 로그 작성하여 검증
애플리케이션 검증: 응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프로그램 기반 검증
데이터 검증: 사전 정의된 업무 규칙을 통해 데이터 정합성 검증
-💛전환 단계별 결과 검증
추출 검증
for 원천데이터 정합성 확인
전환대상 데이터 검증 보고서/원본 데이터로 보고서 정합성 확인
데이터 무결성 (data integrity) : 데이터 값이 정확한 상태
데이터 정합성 (data consistency) : 어떤 데이터들의 값이 서로 일치함
[출처] [DB] 무결성과 정합성의 차이|작성자 혼새미로
전송 검증
for 전송 데이터 유실 확인
원천(AS-IS)검증 자료와 비교/샘플 레코드로 항목별 정당성 검증/원천데이터 검증 보고서
전환 검증
for Staging DB 구성 후 데이터 검증
원천데이터 검증보고서-stagingDB 간 항목별 검증
적재 검증
for 전환데이터 정합성 검증
목적데이터 검증 수행/오류,누락,손실 확인
통합 검증
for 매핑 정의서 오류 검증
오류 데이터 분석-전환 규칙 오류 수정/목적 데이터 검증 보고서/데이터 추출 결과서 비교검증
'취준 >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뒤늦은 제 48회 SQLD 벼락치기 합격후기 (3) | 2023.04.13 |
---|---|
[정처기 3-5. 데이터 전환] 3. 데이터 정제 (1) | 2023.03.29 |
ADsP 비전공자 독학 7일만에 얼렁뚱땅 합격 후기 (2) | 2023.03.19 |
[정보처리기사] 3-5-1. 데이터 전환 기술 (0) | 2023.03.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