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에에전에 배웠던 문법이지만 자꾸 헷갈려서 블로그에 박제해두기로 했다.
1. pass
단순히 실행할 코드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for a in range(5):
if a == 3:
print("Done")
pass
print(a)
>>결과
0
1
2
Done
3
4
결과에서 보이듯 pass를 무시하고 계속 코드가 돌아가는 것을 알 수 있다.
pass가 사용되는 경우는 보통 넣을게 없는데 일단 채워놓고 코드를 실행해야 할 때가 많다.
예를 들어 함수나 조건문, class 등을 선언하고 초기에 넣어줄 값이 없을 때 pass를 적어 놓으면
오류가 발생하지 않아 다른 부분의 동작을 확인할 수 있다.
2. continue
해당 순번의 loop를 넘어가고 다음 순번의 loop로 들어간다.
for i in range(10):
if i % 2 == 0:
continue
print(i)
print(i)
print("Done")
>>결과
1
3
5
7
9
Done
위의 결과를 보면 i가 짝수인 경우 continue가 실행된다.
continue가 실행되면 해당 부분은 그냥 넘어가게 된다.
따라서 if문 안의 print(i)와 if문 밖의 print(i) 모두 실행되지 않고 바로 다음 순번으로 넘어간다.
3. break
loop를 아예 빠져나온다.
for a in range(5):
if a == 3:
print("Done")
break
print(a)
>>결과
0
1
2
Done
break 부분부터 for문이 멈추었음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이때 주의할 점이 있는데, break는 반복문 단 하나를 멈출 수 있다.
즉 이중for문을 빠져나올 때는 break를 이런 식으로 작성해야 한다.
for i in range(100):
for j in range(100):
print(j)
if j == 5:
break
break
>>결과
0
1
2
3
4
5
댓글